경제 / / 2023. 9. 11. 16:51

경제 사상의 역사: 중상주의와 국제 무역(1)

목차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의 중상주의(mercantilism)는 유럽의 지배적인 경제 체제로 부상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봉건제(Feudalism)가 쇠퇴하면서 국가 경제 체제가 강화되는 중요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그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학파와 인물을 소개합니다.

     

    경제 사상의 역사: 중상주의와 국제 무역(1)

    중상주의와 국제 무역(1)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의 중상주의(mercantilism)는 유럽의 지배적인 경제 체제로 부상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봉건제(Feudalism)가 쇠퇴하면서 국가 경제 체제가 강화되는 중요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특히 15세기에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와 다른 탐험가들이 새 대륙 및 아시아로의 항해를 시작함으로써 새로운 국제 무역 기회가 열렸습니다.

     

    중상주의는 이러한 변화와 함께 발전한 경제 이론 및 정치 운동으로, 주로 국가의 군사적 강화와 지역 시장 및 공급원의 보호를 강조했습니다. 이 시기에 강력한 군사 국가를 갖는 것이 국가의 지위를 높이는 길로 여겨졌습니다. 따라서 중상주의는 국가의 군사력을 사용하여 지역 시장과 공급원을 보호하고 경제를 지원하는 정책을 옹호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주로 보호무역주의(Protectionism)를 통해 구체화되었습니다.

     

    상업 이론가들은 국제 무역이 모든 국가에게 동시에 이익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돈과 귀금속이 부의 주요 원천이라고 여겼으며, 제한된 자원은 국가 간에 분배되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관세(tariffs) 및 무역 제한은 국내 자원을 보호하고 수입을 억제하여 돈을 국내로 유지하고 해외로 보내는 수출을 장려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국가의 경제 안정을 유지하고 군사력을 강화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여겼습니다. 이러한 이론은 종종 군사력에 의해 뒷받침되는 잉여 수출을 통해 유지되어야 한다는 개념을 내포하고 있었습니다.

     

    중상주의라는 용어는 Victor de Riqueti, Marquis de Mirabeau (1715-1789)에 의해 1763년에 처음으로 만들어졌으며, 1776년 Adam Smith에 의해 대중화되었습니다. 이는 중상주의의 주요 원칙과 정책이 시대적으로 중요하게 다뤄지고 널리 인식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살라망카 학교

     

    16세기에 스페인의 살라망카 예수회 학교(School of Salamanca)는 경제 이론의 발전에 높은 수준의 기여를 했습니다. 이 학교는 중세 스콜라 경제학(Scholastic economics)의 중심지로서, 경제, 윤리, 정치 및 사회 문제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이론 개발을 진행했습니다. 이 학교의 학자들은 당시 스페인 제국의 식민 활동과 금 및 은의 대량 생산과 유통과 같은 현실적인 경제 문제에 직면하면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수행했습니다.

     

    살라망카 예수회 학교의 주요 학자로는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Francisco de Vitoria), 도미니코 데 수스(Suárez), 도미니코 데 모라레스(Morales) 등이 있습니다. 이 학자들은 경제 이론을 개발하고 사회 정의, 소유권, 무역, 가격 및 가치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살라망카 예수회 학교의 가장 중요한 공헌 중 하나는 "정당한 전쟁 이론"이라고 불리는 국제 법 및 윤리에 대한 이론을 개발한 것입니다. 이는 나중에 국제 법과 국제 정치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 학교의 학자들은 미국 대륙 발견 이후 식민지 경제와 관련된 논의를 통해 식민지주의와 인권 문제에 대한 기여를 했습니다. 이로써 살라망카 예수회 학교는 경제 이론과 사회 정의에 대한 철학적 사고를 발전시키고 당대의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했습니다.

     

    그러나 이 학교의 공헌은 20세기까지 잊혀져 있었고, 그 이후에야 그들의 중요성이 재평가되었습니다. 살라망카 예수회 학교의 이론과 사고 방식은 현대 경제학과 국제 법에서 계승되고 연구되며, 그들의 업적은 경제학과 윤리학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중요한 역사적 유산입니다.

     

     

    토마스 모어 경

    1516년에 출판된 영국의 인본주의 자 토마스 모어 경(Thomas More, 1478-1535)의 "유토피아"는 현실 세계에서는 이상적인 것처럼 보이는 이상적인 사회를 묘사한 책입니다. 이 작품은 "유토피아(Utopia)"라는 단어의 기원이 되기도 했습니다.

     

    "유토피아"에서 모어 경은 공동체 소유의 개념을 탐구하고, 모든 사람이 교육과 종교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이상적인 사회 모델을 그려냈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소유물을 공유하고 노동을 공동으로 수행하는 공동체를 묘사하며, 이를 통해 부의 불평등과 사회적 불평등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보여줍니다.

     

    "유토피아"는 그 당시의 사회적 문제와 비판적으로 대치하면서 공산주의와 사회주의 운동에 영감을 제공했습니다. 이 작품은 사회적 평등, 공동체의 중요성, 자유와 평화의 가치 등을 강조하며, 이러한 이념들은 이후의 정치적 사고와 사회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모어 경은 그의 이상적인 사회 모델을 "유토피아"를 통해 제시하면서 현실 세계의 문제를 진지하게 고찰하고, 그 해결책으로서 공동체와 인간의 가치를 강조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현대 사회와 경제 이론에도 영향을 미치며, 그의 비전은 계속해서 논의되고 연구되는 중요한 문화적 유산입니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1517년에 태어난 천문학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 1473-1543)는 단순히 천문학에만 관심을 가지지 않았습니다. 그는 화폐의 수량 이론에 대한 최초의 알려진 주장을 발표한 인물 중 하나입니다.

     

    그의 화폐 이론은 "그레샴의 법칙(Gresham's Law)"의 초기 형태 중 하나를 형성하였습니다. 이 법칙은 "나쁜 돈이 좋은 돈을 몰아낸다"라는 원칙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경제학에서 중요한 원리 중 하나로, 보통은 실제 가치가 떨어지거나 손상된 화폐가 시중에 돌아다닐 때, 사람들은 가치가 높은 화폐를 점차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과적으로, 가치가 높은 화폐는 시장에서 사라지고 가치가 낮은 화폐가 순환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그의 작품을 통해 이러한 경제적 원리를 처음으로 정리하고 설명하였으며, 이는 그의 시대에 경제 이론의 중요한 선행자 중 하나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그의 화폐 이론은 이후 경제학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며, "그레샴의 법칙"은 현대 경제학의 중요한 이론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